
[파이낸스데일리 정경춘기자] 캔들이 음봉이면 나쁜 것 양봉이면 좋은 것으로 단순히 알고 있다. 왜냐하면 시가보다 종가가 높으면 양봉으로 표시하고 시가보다 종가가 낮으면 음봉으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차트 흐름상 상승형 음봉의 위치
그러나 차트의 흐름 전체를 놓고 보면 음봉이라도 좋은 음봉이 있다.
물론 음봉보다는 양봉이 더 좋은 신호이기는 하지만 음봉이라고 배척할 필요는 없다.
상승형 음봉은 시가가 종가가 낮게 끝났지만 전일의 종가보다 당일 종가가 높은 음봉(①)을 말한다.
그러면 전날 양봉과 당일의 상승형 음봉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게 된다.
음봉이기는 하지만 전일 종가 대비해서 올라갔기 때문에 상승형이라는 단어가 붙는다.
상승형 음봉은 물량 소화 또는 매집의 의미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단기적으로 급 상승한 주가는 5일 이동평균선과의 이격이 벌어져 있을 것이다.
단기 눌림목을 잡기 위해서는 이평선과의 간격이 줄어든 상황에서 매수를 고려 해야 하는데 음봉이지만 전일 종가보다는 높아 시세가 죽지 않았고 5일 이동평균선과의 이격도 줄여 줬기다고 판단 하기 때문에 매수를 고려할 만 한다.
상승형 음봉이 매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음날 주가의 상황(②)을 잘 관찰해야 한다.
상승형 음봉 다음날 갭 하락
다음날 2~3% 갭 하락으로 시작 했다면 오늘의 상승형 음봉은 매도세력들이 털어내면서 생긴 흔적이라고 보고 2일전 종가를 지지대로 보고 지켜보다가 그 이하로 주가가 계속 떨어지면 손절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맞다.
즉, 상승형 음봉의 갭 구간에서 상승하는 매수세가 들어와야 한다는 것이다,
2일 전 종가를 지켜주며 매수세가 들어오는 모습을 보이면 추가 매수 등을 하여 상승을 노려볼 만 하다.
매수 물량이 큰 외국인이나 기관들이 수급에 영향을 끼치는 종목은 다음날 바로 상승 시키지 않고 1~2일 정도 시간을 가져가면서 올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승형 음봉 다음날 갭 상승
1% 이내라도 다음날 갭 상승을 했다면 전날의 상승형 음봉에서 매집을 했고 다음날 초반부터 매집을 다시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상승형 음봉 다음날 갭 상승(②)을 했더라도 상승형 음봉의 종가 아래로 주가가 떨어지면 손절, 비중 축소 등의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
만약 상승형 음봉의 전날 양봉의 종가 아래까지 내려갔다면(갭 부분이 메워짐) 예측이 틀렸을 확률이 높으므로 전량 손절하여 매매를 종료하고 다음을 모색 하는 편이 낫다.
그러나 빠르게 매수세가 들어오고 상승형 음봉의 종가를 회복 해 주면(②) 비중 축소 물량 만큼 다시 매수하고 매수세의 추가 매수 상황을 보고 추가 매수까지도 고려 하면 된다.
그 다음날 부터 주가가 우 상향(③)의 모습을 보일 확률이 높다.
상승형 음봉 매매를 할 때 확인 해야 할 사항
누구나 관심을 가진 재료나 테마가 있어 시장에 돈이 모이고 있는 종목 중에서 상승형 음봉 종목을 찾아야 수익 낼 확률이 높다.
시장의 관심이 떨어지고 소외 받고 있는 종목에서 아무리 상승형 음봉이 나온다고 해도 변동성이 없고 매수세가 잘 유입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승 확률은 떨어진다.
상승형 음봉을 찾을 때 재료, 호재, 돈이 몰리는지 등을 반드시 확인 하고 최근 1~2달 이내에 비슷한 유형의 모습을 보여 끼가 있는 종목인지까지를 체크 하면 더욱 좋다.
또한, 5일 이동평균선이 지지를 하는 자리까지 겹치면 상승 확률은 더 높아진다.
여기에 과거의 매물대 지지대와 겹친다면 여러가지의 의미가 있는 지지대가 겹치는 구간이므로 확률이 더 높아진다.
<상승형 음봉에 대해 같이 읽으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