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스데일리 정경춘기자] 주식 매매를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은 무엇일까?
주가의 신뢰도
가격의 신뢰도가 있어야 주식 매매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가격의 신뢰도가 생기려면 많은 사람들이 거래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 된 가격이 필요하다.
만약 서울에서 단팥빵을 사려고 하는데 서울에서 단팥빵을 파는 곳이 1군데만 있다면 그 가격이 비싼지 싼지를 알 수 없다. 그 제과점에서 정한 가격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울에 단팥빵 파는 제과점이 1천개가 있다면 1천개 제과점에서 파는 가격이 어느 정도는 형성 되어 있을 것이다. 단팥빵 1개 가격은 1,000원~1,500원 정도로 말이다.
서울에서 단팥빵 파는 제과점이 1군데이고 단팥빵 1개 가격이 10,000원이라고 한다면 신뢰가 가지 않을 것이다.
주식도 사고 파는 물건과 같은 것이라서 거래량이 많으면 그 거래에 동참 한 모든 사람들의 의지가 반영 된 것이기 때문에 그 가격에 신뢰를 할 수 있다.
그래서 주식매매를 할 때는 거래량이 너무 작은 주식(예: 1일 거래량이 1천만원)은 1천만원만 있으면 가격을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기 때문에 주가를 신뢰하기 어렵다.
필자가 차트분석 시리즈를 작성 할 때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장대 양봉과 거래 대금이다. 그 종목에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가격의 신뢰가 생겼기 때문이다.
장대 양봉 이후 종목의 가격에 신뢰가 형성 되었으니 그 이후 거래량의 변화에 따른 주가 변동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거래량이 증가하면 주가는 위든 아래든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거래량의 증가는 재료에 의한 상승보다 본질적인 주가 변화의 시작이다.
왜냐하면 재료가 아무리 좋아도 거래량이 늘지 않으면 주가가 움직이지 않는다.
장대 양봉과 거래량이 증가 한 날 사람들의 심리
기존 매수자들은 장대 양봉이 나오면 기존에 의심을 하면서 불안 해 하는 심리가 ‘아~ 이제 가는구나, 내 예측이 맞았어’하고 입가에 미소를 짖는다.
기존 매수자들 중에는 장대 양봉 형성 이전에 약간의 이익이나 약간의 손실을 보고 매도한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장대 양봉 출현 전 종목에 대한 확신이 떨어져 팔았고 미련이 남아 계속 지켜 보던 중 장대 양봉이 형성되는 것을 본 후 ‘아~ 조금 더 기다릴껄’하는 탄식을 하고 다시 진입할 기회를 찾는다.
당일 매수자들 중에는 당일 장대 양봉이 형성 될 때까지도 안 팔고 기다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장대 양봉 초반에 주가가 오르려는 기미를 보이자 적극적으로 시장가로 매수를 한 사람들이 대분이므로 이 종목에 대한 확신이 있고 앞으로도 계속 오를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
당일 매수자들 중 당일장대 양봉 중간에 매도자들은 오를지 안 오를지 확신이 없고 시장가 보다 높은 가격에 주문을 걸어 놓고 팔리면 ‘이 정도 올랐으면 만족 해~, 차익 실현 해서 좋네~’라는 심리가 생긴다. 그러나 그 이후 주가가 계속 올라서 장대 양봉이 형성 된 것을 보면 ‘아~ 그 때 좀 더 참을 껄’이라는 아쉬움이 생긴다.
당일 매수자들 중에는 장대 양봉 형성 중간에 팔아서 차익실현을 한 사람들도 있다. 파는 순간에는 수익 실현을 했기 때문에 기분이 좋을 수 있지만 그 이후 주가가 계속 올라가면 ‘아~ 좀 더 기다릴껄, 가격이 떨어지면 다시 사야겠다’는 심리가 생긴다.
장대 양봉에는 이런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가 뒤섞여 있다.
그 이후 주가는 심리가 어떤 방향으로 쏠리냐에 따라 상승, 하락, 횡보로 갈리게 된다.
장대 양봉 다음날 이 종목을 사고 싶은 사람은 못 산 사람들, 장대 양봉에서 매도한 사람들이다. 그래서 다음날 주가가 상승할 확률이 높아진다.
장대 양봉 후 거래량이 유지되면서 상승

장대 양봉(①) 이후 거래량이 계속 붙어(②) 주면서 주가가 상승 추세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매수세가 강력하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물량 소화를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에 중간 중간에 물려 있는 매물대가 많다.
세력만 알고 시장에서 알려지지 않은 강력한 호재가 발생했을 때 급하게 매집을 시도한 것으로 해석하면 된다.
단기간에 매집을 급하게 했기 때문에 매물대를 빠른 시간에 돌파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②)이 든다. 비용의 한계 때문에 얼마 가지 않아 고점을 형성하고 거래량이 많이 줄어든(③) 하락 추세(③)로 전환 되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세력은 충분한 물량을 소화 시키면서 매집을 해야 고점에서 티나지 않게 큰 수익을 내고 나올 수 있다.
이 외에 세력들간의 손 바뀜이 있을 때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
장대 양봉 후 거래량이 유지되면서 하락

장대 양봉(①)이후 거래량이 유지되면서(②) 주가가 하락하고 추세가 유지(②) 되는 경우도 있다.
이 추세의 거래량은 매도의 의지가 강한 거래량이다.
세력이 조금이라도 높은 가격에서 팔기 위해서 잠시 올렸다가(①) 고점에서 물량을 떠 넘긴 것으로 보아야 한다.
여기에는 시장에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악재를 세력이 미리 알고 개미 투자자들에게 물량을 떠 넘기는 선 조치를 했을 가능성도 있다.
장대 양봉 후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완만하게 상승

가장 좋은 형태의 차트이다.
거래량이 줄어들었는데도(②) 완만하게 상승(②)을 하는 것은 물량이 소화 되어서 매도할 만한 사람들은 매도하고 조금만 매수를 해도 팔 사람이 거의 없어 가격이 상승을 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세력이 매집을 마무리 했고 주가를 원하는대로 조종이 가능한 정도로 물량을 확보했다는 얘기다.
이 현상은 향후 상승확률이 높기 때문에 관심종목으로 넣어두고 관찰 하다가 상승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때(③)를 포착해 매매를 하면 큰 수익을 가져 갈 수 있다.
장대 양봉 후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완만하게 하락

가장 주의 해야 하는 차트의 모습이다.
장대 양봉이후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하락할 때는 급격하게 하락할 때의 특징은 기술적 반등을 주면서 올릴 듯한 모양새를 보이다가 하락하고 오를 듯 하다가 하락하는 흐름을 보인다.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계속 기대감을 갖게 하면서 추세는 하락을 시키는 것이다.
매집을 완료하고 주가를 조종할 수 있는 세력들이 티 안 나게 개미 투자자들에게 물량을 떠 넘기고 있다고 보면 된다.
만약 거래량이 실리면서 장대 음봉이 나오면 개미 투자자들은 무서워서 팔려고 하지만 완만하게 기술적 반등을 섞어주면서 완만하게 하락을 하면 희망 고문을 계속 하기 때문에 개미 투자자들이 빠져 나오기 힘들다.
장대 양봉 후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횡보

두 번째로 좋은 형태의 차트이다.
장대 양봉의 중간 부분을 지지선으로 보고 이 지지를 깨지 않고 거래량이 줄어든 횡보를 보이면 좋은 징조이다.
이 경우는 세력들이 단기적으로 매집이 완료 되었고 주가를 지지선 밑으로 떨어지지 않게 관리를 하는 모습이다.
횡보를 하면서 기간조정을 받은 후 거래량이 증가하는 2차 장대 양봉을 형성한 후 추가 상승을 할 확률이 높다.
거래량이 증가하는 2차 장대 양봉 형성 되는 날에 단타로 수익 실현을 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