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 상품 가입 시 갱신형과 비갱신형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갱신형 보험과 비갱신형 보험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소비가가 어떤 상품을 가입해야 유리한지 알아 보자.
갱신형 보험과 비갱신형 보험 특징
갱신형 상품은 가입할 때 보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갱신 주기마다 보험료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비갱신형 상품은 가입할 때 보험료가 비싸지만 납입 기간 동안 보험료가 오르지 않는다.
젊은 사람들은 비갱신형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비갱신형 상품은 보험료가 비싸지만, 젊은 나이에 가입하면 보험료를 경제활동을 하는 나이에 보험료 납입을 끝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35세에 20년납 100세만기 보험을 가입하면 55세에 보험료 납입을 완료하고 100세까지는 보험료 납입 없이 보험 혜택만 받는 구조이다.
반면 50대 이상의 연령층은 갱신형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갱신형 상품은 보험료가 저렴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50대 이상이면 비갱신형 보험은 보험료가 높아 가입이 부담 스럽지만 갱신형 상품은 비교적 저렴해서 보험 가입 장벽이 낮다”며 “50대 이상은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은 시기 이므로 가입 장벽이 낮은 갱신형 상품으로 가입 해서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질병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갱신형 보험은 초기 보험료가 낮지만 지속적으로 납입해야 하고 보험료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비갱신형 보험은 초기 비용이 높지만 일정 기간 납입 후에는 보험료가 고정되어 보장만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험 상품을 선택할 때는 자신의 납입 여력과 나이 등을 고려하여 갱신형과 비갱신형 중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갱신형 보험의 납입기간
비갱신형 상품의 납입 기간은 보통 20년과 30년 중 선택할 수 있다.
20년 납입은 30년 납입보다 총 보험료가 적지만, 월 보험료가 30년 납입보다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30년 납입은 20년 납입보다 총 보험료가 많지만, 월 보험료가 20년 납입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험 상품을 선택할 때는 자신의 납입 여력과 나이 등을 고려하여 갱신형과 비갱신형 중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납입 면제 기능
어린이 보험이나 성인보험 암 뇌질환 심장질환 등의 상품은 납입 면제 기능이 있는 경우가 많다.
비갱신형 상품은 납입 기간을 길게 하고 납입하다가 납입 면제 사유가 발생하면 차후 보험료를 전혀 안 내도 보장이 유지 되기 때문에 유용하다.
갱신형 상품도 납입 면제 기능이 있는 상품이 있다. 20년 갱신형이면 20년까지만 납입 면제가 되고, 또 다시 갱신될 때는 갱신 된 보험료로 납입해야 하는 형태이다.
납입 면제 기능을 활용하려는 소비자는 비갱신형 보험을 가입해야 유리하다.
보험 상품의 약관이나 상품 내용을 꼼꼼히 비교하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