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스데일리

[차트분석] 주가가 떨어질 때 눌림목, 급락…구분하는 방법은?

주가가 떨어질 때 눌림목, 급락 차트(와이씨켐, 레이저옵텍)
주가가 떨어질 때 눌림목, 급락 차트(와이씨켐, 레이저옵텍). 그래픽=정경춘기자

[파이낸스데일리 정경춘기자] 상승하던 주가는 반드시 하락 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하락하던 주가도 반드시 상승 하게 된다.

이러한 대 전제를 이용하여 주식 매매를 하는 방법이 눌림목 매매, 급락 매매 등이다.

눌림목 매매와 급락 매매

눌림목 매매는 상승하던 주가가 약간의 하락을 주고 다시 상승(①)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약간의 하락 타이밍에 매수하여 재차 상승 구간에서 매도하여 수익을 내는 방법이다.

급락 매매는 크게 하락하던 주가가 멈추고 상승을 줄 때가 있는데 하락을 멈추는 시기에 매수(⑤)하여  상승을 줄 때 매도하여 수익을 내는 방법이다 .

눌림목과 급락 구분 방법

주가가 떨어질 때 눌림목인지 계속 떨어질지를 구분할 수 있어야 매수를 할 수 있다.

이 때 거래량, 지지와 저항 등을 보고 판단하면 눌림목인지 아닌지를 구별 할 수 있다.

분봉에서는 장 시작부터 강한 상승을 보이던 주가가 가격적으로 조정을 보일 때 거래량을 잘 살펴 봐야 한다.

장 초반 눌림목이 나오는 이유는 급한 상승을 보이던 종목의 차익 실현 물량이 나올 때 눌림이 나온다.

이 밖에 고점에서 따라 붙었던 개인 투자자들의 물량을 세력들이 털어내는 과정에서 눌림이 나오기도 한다.

눌림목 구간에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거래량이 감소(②)한다는 것이다.

눌림목의 반대 개념인 투매의 큰 특징은 지지선에서 재차 상승하지 못하고 지지선을 깨고 내려가면서 거래량이 크게 증가(④)하고 큰 폭의 하락(⑤)이 나오는 것을 말한다.

눌림목 어디에서 매수할까?

상승하던 주가가 박스권을 돌파 후 박스권의 상단, 신고가 돌파 자리, 전고점 돌파 자리 등 돌파한 자리가 지지선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돌파 자리를 눌림목 매수 자리로 보는 투자자들이 많다.

눌림목 매수 자리에서 매수를 했는데 상승하지 못하고 지지선을 깨고 내려간다면 투매가 나오면서 급격한 하락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손절, 비중 축소 등으로 대응 해야 한다.

눌림목의 횟수

상승하던 주가가 눌림목을 주고 재차 상승하는 모습을 여러 번 보일 때가 있다.

1차 상승 후 눌림목에서 매수하여 수익을 내고 2차 상승 후 눌림목에서 다시 매수하여 수익을 냈는데도 3차 상승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3차 상승 부터는 상승 동력이 떨어질 수 있으니 눌림목 매매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특히, 대형주는 1차 눌림목에서 수익 낼 확률이 높다.

급락 매매

15% 이상 상승을 보이던 종목에서 투매가 나왔을 때 반등도 크게 나온다.

반등이 나오는 시점에 매수(⑥)를 해서 수익을 내는 매매를 급락 매매라고 한다.

큰 상승이 나온 후 지지선을 깨고 내려갈 때 거래량이 증가(④)하면서 음봉(③)이 발생한다.

지지를 상승을 기대하고 있던 주식 보유자들이 지지선을 뚫고 주가가 내려가면 손절을 하기 때문에 급락(⑤)이 나온다.

급락이 나오면 빠르게 저항선까지 오르므로 투매가 나온 후 전고점, 박스 상단, 하단 등의 지지선을 찾아 반등 지점을 찾아서 매수(⑥)하면 된다.

뚫고 내려온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바뀐 상태이므로 저항선 부근에서 매도를 하여 수익을 내면 된다.

댓글 달기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