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스데일리

[차트분석] 스윙 매매 우상향 하는 중소형 주도주 공략법…60일 이동평균선,120일 이동평균선 눌림

스윙 매매 우상향 하는 중소형 주도주 공략법 60일 이평선 눌림 차트(CJ프레시웨이)
스윙 매매 우상향 하는 중소형 주도주 공략법 60일 이평선 눌림 차트(CJ프레시웨이). 그래픽=정경춘기자

[파이낸스데일리 정경춘기자] 주가가 우상향을 하면 앞으로 지속적으로 오를 확률이 높다.

우상향 정배열 확인

우상향인지 아닌지를 확인 하는 방법은 일봉 차트에서 이동평균선들이 정배열(②)이 되었을 때가 우상향에 진입했다고 판단하면 된다.

이동평균선 정배열은 5일선, 10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이 위에서 부터 차례대로 배열(②) 된 것을 말한다.

5일선, 10일선은 단기간 주가의 변동에 따라 선들이 엉킬 수 있지만 20일, 60일, 120일은 반드시 위에서 부터 차례대로 정배열을 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면 캔들은 이동평균선들 위에 배치 되어 있거나 5일선, 10일선, 20일을 넘나들면서 주가가 오르락 내리락 할 것이다.

이 때 반드시 60일선과 120일 선 위에 캔들이 위치(②)하고 있어야 한다.

우상향 하는 중소형 주도주 조건

일단 차트에서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이 된 종목을 찾는 것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다.

이동평균선이 정배열 된 종목을 관심종목에 넣어 두고 재무제표를 확인 해야 한다.

아무리 우상향하고 있는 종목이라도 재무제표상에서 영업이익 등 회사 재무 상태가 안 좋으면 갑자기 주가가 폭락해도 이상하지 않다.

재무제표에서 너무 많은 항목을 보려면 힘들기 때문에 몇 가지 항목만 체크하고 넘어가야 한다.

매출이 매년 꾸준한지, 영업이익이 적자가 아니고 매년 나고 있는지, 부채가 200%이하인지만 살펴봐도 완전히 이상한 종목은 걸러진다.

시가총액은 2천억~6천억원(①)이 적당하다.

시장상황에 따라 종목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시가총액이 1천억원 정도라고 해당 종목군의 주도하는 종목이면 무관하고 6천억원 이상의 대형주라도  시장의 관심을 받고 강한 우상향을 하고 있다면 괜찮다.

이동평균선이 정배열 된 급등을 하면 20일선과 60일선의 이격이 점점 커지게 되는데 이격이 클수록 좋고(③)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다가 빠르게 60일 이동평균선으로 하락하는(④) 종목이 좋다.

60일 이동평균선 터치

캔들이 정배열 된 이동평균선들을 모두 관통하여 돌파한 후 첫번째로 60일 이동평균선까지 눌림(⑤)을 줄 때가 매수 타이밍이다.

특히,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빠르게 떨어지면서(④) 60일 이동평균선으로 향하고 있다면 수익 낼 확률이 더 높다.

또한,20일 이동평균선과 60일 이동평균선의 이격이 클 수록(③) 수익 확률은 높아진다.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이 된 상태(②)에서 20일 이동평균선을 뚫고 내려오다가 6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 다다르면 분할 매수(⑤)를 한다.

60일 이동평균선 바로 위에서 반등이 나와서 올라갈 수도 있고 60일 이동평균선을 약간 뚫고 내려간 후 반등을 줄 수 있기 때문에 2차례에 걸쳐 분할 매수를 한다.

1차 매수는 60일 이동평균선 위 +2%에서 하고 2차 매수는 1차 매수 가격에서 추가로 7~10% 더 내려가면 한다.

위 조건을 만족하는 종목들은 첫번째 눌림목(⑤)에서 주가가 60일 선을 뚫고 내리막길로 갈 확률은 적다.

그러나 매수 전에 뉴스를 확인하여 악재가 터지면서 빠르게 하락하는 종목은 절대 매수 하면 안 된다.

특히, 제약/바이오 종목군은 임상 실험 실패, 미 FDA 허가 불허 등 예측할 수 없는 악재들이 많으므로 주의 해야 한다.

+7%~10% 정도 수익이 나면 분할로 매도(⑥)하여 수익을 확정하면 된다.

시장의 상황이나 종목의 상승 탄력 정도에 따라 수익 비율을 조정하면 된다.

120일 이동평균선 터치

60일 이동평균선과 조건은 동일하다.

60일 이동평균선에서 반등을 하여 수익을 낸 후 다시 60일 이동평균선에 다다랐는데 60일 이동평균선을 뚫고 내려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60일 이동평균선에서 매수를 하지 말고 120일 이동평균선까지 주가가 하락하기를 기다렸다가 120일 이동평균선에 처음으로 터치 하려고 하는 +2%에서 1차 매수를 하고 1차 매수가격에서 추가로 7~10% 더 내려가면 2차 매수를 한다.

120일 이동평균선도 선에 닿지 않고 올라갈 수도 있고 약간 더 내려 간 이후에 반등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60일 이동평균선과 120일 이동평균선의 이격이 클 수록 좋고 60일 이동평균선에서 주가의 하락 속도가 빠르면 더 좋다.

2차 매수까지 했는데 120일 이동평균선을 이탈하여 내려 간다면 2차 매수한 평균매수가격에서 -2%가 되면 손절을 하여 대응을 하면 된다.

 

<스윙매매에 대해 같이 읽으면 좋은 기사1>

[차트분석] 20일 이동평균선에서 N자형 파동 매매…스윙매매 기초

<스윙매매에 대해 같이 읽으면 좋은 기사2>

[차트분석] 20일 이동평균선과 60일 이동평균선 콜라보 매매…스윙매매 기본

<스윙매매에 대해 같이 읽으면 좋은 기사3>

[차트분석] 큰 추세선, 작은 추세선 긋기…스윙매매의 기본

<스윙매매에 대해 같이 읽으면 좋은 기사4>

[차트분석] 스윙매매 투자자와 단타매매 투자자의 매매위치 차이

<스윙매매에 대해 같이 읽으면 좋은 기사5>

[차트분석] 추세매매로 스윙투자…전 고점들과 전 저점들 연결

댓글 달기

Scroll to Top